💡 가상화폐에서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시스템 자체를 의미해요. 즉,
그 코인이 돌아가고, 거래가 이루어지고, 기록되는 전체 구조와 연결망을 말하는 거예요.
🧱 예를 들어볼게요!
🔹 이더리움 네트워크 (Ethereum Network)
- 이더리움이라는 코인이 돌아가는 블록체인 시스템
- 이 네트워크에서만 ETH, ERC-20 토큰 (예: USDT, MATIC, LINK 등)이 움직일 수 있어요.
🔹 비트코인 네트워크 (Bitcoin Network)
- 비트코인(BTC)이 움직이는 네트워크
- 이더리움 토큰은 여기에 보낼 수 없어요.
🔹 트론 네트워크 (TRON Network)
- 빠르고 수수료가 낮은 네트워크
- USDT(테더)도 트론 버전이 있어요 (TRC-20 형식)
📦 똑같은 토큰인데 네트워크가 다르다?
맞아요! 예를 들어 **USDT(테더)**는 여러 네트워크에서 사용돼요.
네트워크형식특징
Ethereum | ERC-20 | 보편적이지만 수수료가 높음 |
TRON | TRC-20 | 빠르고 수수료 저렴 |
Binance Smart Chain | BEP-20 | 바이낸스 사용자에게 유리 |
→ 그래서 전송할 땐 ‘어떤 네트워크’를 선택했는지가 정말 중요해요!
잘못 보내면 코인이 사라질 수도 있어요 😨
🔍 왜 코인마다 네트워크가 다를까?
코인마다 목적, 기능, 철학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만들어 운영해요. 아래에 쉽게 정리해볼게요:
🧱 1. 블록체인은 하나의 시스템(네트워크)
-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은 각자의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어요.
- 블록체인은 일종의 분산형 장부로, 거래 정보를 기록하는 고유의 시스템이에요.
- 이 시스템은 그 코인의 근본적인 규칙을 담고 있죠 (예: 어떻게 거래를 처리할지, 수수료는 어떤 방식인지 등).
💡 2. 코인마다 목적이 다르니까 네트워크도 다르다
코인 이름네트워크목적 및 특징
비트코인 (BTC) | Bitcoin Network | 디지털 금, 가치 저장 수단 |
이더리움 (ETH) | Ethereum Network | 스마트 계약, 탈중앙화 앱 실행 |
리플 (XRP) | RippleNet | 은행 간 국제 송금 |
솔라나 (SOL) | Solana Network | 초고속 처리, 낮은 수수료 |
폴리곤 (MATIC) | Polygon (Layer 2) | 이더리움의 확장성 보완 |
👉 각각의 코인은 자신의 목적에 맞는 방식으로 설계된 네트워크를 사용해요.
🔌 3. 네트워크가 다르면 뭐가 달라지나요?
- 지갑 주소 형식이 다름
→ 비트코인 주소, 이더리움 주소가 생김새부터 달라요. - 전송 수수료, 속도 차이
→ 어떤 네트워크는 빠르고 싸고, 어떤 곳은 느리고 비쌀 수 있어요. - 지원 여부
→ 거래소나 지갑에서 특정 네트워크만 지원하기도 해요. 이더리움 기반 토큰인데 실수로 비트코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면 자산이 날아갈 수도...😰
🧭 요약하자면!
각 코인은 자신의 철학과 목적에 맞는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와 기능도 다를 수밖에 없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