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해시(Hash)란?
아무 길이의 데이터를 → 일정한 길이의 고유한 코드로 바꾸는 기술이에요.
예를 들어:
arduino
복사편집
"Hello" → 해시 함수 → "2cf24dba5fb0a..." "Hello!" → 해시 함수 → "bea8251ff1b2..."
- 글자 하나만 바뀌어도 완전히 다른 해시가 나와요!
- 대표적인 해시 함수: SHA-256 (비트코인에서 사용)
💡 쉽게 말하면?
"지문" 같은 거예요!
- 사람마다 지문이 다르듯, 데이터마다 해시값이 다름
- 같은 입력 → 항상 같은 해시
- 해시값만 보면 원래 내용을 알 수는 없어요 (일방향)
📦 블록체인에서는 어떻게 쓰일까요?
1. 블록 식별
- 각 블록은 자기만의 해시값이 있어요 (블록 ID처럼)
2. 무결성 확인
- 블록 내용이 조금이라도 바뀌면 해시도 완전히 달라짐
- 그래서 해시값을 비교하면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3. 채굴 퍼즐
- 앞서 말한 채굴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를 찾는 게임이에요
📷 그림으로 해시 개념 정리
css
복사편집
[데이터] → 🔁 해시 함수 → [해시값] 예: "블록 #1" → SHA-256 → "000abc123xyz..."
🧩 특징 요약:
- 고정된 길이
- 빠르게 계산 가능
- 되돌릴 수 없음 (역산 불가)
- 아주 작은 변화도 큰 차이를 만듦
반응형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과 네트워크 (7) | 2025.04.11 |
---|---|
가상화폐 기축통화 (4) | 2025.04.05 |
논스 (0) | 2025.03.28 |
거래소 BTCC 소개 (6) | 2025.03.22 |
코인과 토큰의 차이 알려드립니다 (2)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