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415

APK 파일 알리미 APK(Android Package Kit) 파일은 안드로이드 앱 설치 파일입니다.Windows에서 .exe, macOS에서 .dmg 파일이 설치 파일이듯, 안드로이드에서는 .apk 파일을 통해 앱을 설치해요.주요 특징앱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코드, 리소스, 이미지 등)이 압축되어 들어 있어요.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앱을 설치할 때도 사실은 APK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거예요.직접 APK 파일을 다운로드해 설치하는 걸 "사이드로딩(Sideloading)"이라고 해요.설치 방법 (출처 외부 APK 파일)먼저 스마트폰에서 설정 > 보안 > 알 수 없는 소스 허용을 켜야 해요.그런 다음 APK 파일을 열면 설치가 시작됩니다.주의할 점신뢰할 수 없는 출처의 APK 파일은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 2025. 5. 1.
Node 🔹 노드(Node)란?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예요. 이 컴퓨터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해요:거래 정보 저장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모든 거래를 저장하고 검증.블록 전파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면 다른 노드들에게 이 정보를 전파.검증 및 합의거래와 블록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다수의 노드가 합의할 때만 블록체인에 기록..🔹 노드의 종류풀 노드(Full Node)전체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모든 거래를 직접 검증.블록체인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라이트 노드(Light Node)전체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확인.주로 모바일이나 작은 장치에서 사용.마이닝 노드(Mining Node)블록을 생성하고 새로운 코인을 얻기 위해 '채굴(mining)' 작업.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시.. 2025. 4. 23.
가상화폐의 역사 1. 아이디어의 시작 (1980~1990년대)디지캐시(DigiCash, 1989): 암호학자 데이비드 차움(David Chaum)이 만든 디지털 화폐. 프라이버시 중심이었지만 중앙화된 구조로 인해 실패.비머니(b-money)와 비트골드(Bit Gold): 비트코인의 아이디어적 선구자격인 시스템들이 이 시기에 등장. 실제로 구현되지는 않았지만 큰 영향을 줌.2. 비트코인의 등장 (2008~2009)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인물이 비트코인 백서 발표 — “탈중앙화된 전자 화폐 시스템” 제안2009년: 비트코인 네트워크 가동, 제네시스 블록 생성2010년: 첫 실제 거래 – 피자 2판을 1만 비트코인으로 구입 (이벤트로 "피자데이"라 불림)3. 알트코인의 등장 (2011.. 2025. 4. 20.
코인과 네트워크 💡 가상화폐에서 ‘네트워크’란?‘네트워크’는 블록체인 시스템 자체를 의미해요. 즉,그 코인이 돌아가고, 거래가 이루어지고, 기록되는 전체 구조와 연결망을 말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볼게요!🔹 이더리움 네트워크 (Ethereum Network)이더리움이라는 코인이 돌아가는 블록체인 시스템이 네트워크에서만 ETH, ERC-20 토큰 (예: USDT, MATIC, LINK 등)이 움직일 수 있어요.🔹 비트코인 네트워크 (Bitcoin Network)비트코인(BTC)이 움직이는 네트워크이더리움 토큰은 여기에 보낼 수 없어요.🔹 트론 네트워크 (TRON Network)빠르고 수수료가 낮은 네트워크USDT(테더)도 트론 버전이 있어요 (TRC-20 형식)📦 똑같은 토큰인데 네트워크가 다르다?맞아요! 예를.. 2025. 4. 11.
가상화폐 기축통화 🌐 기축통화란?**기축통화(基軸通貨, Reserve Currency)**는세계 무역이나 금융 거래에서 기준이 되는 통화를 말해요.가장 대표적인 예는 **미국 달러(USD)**죠.나라 간 무역을 할 때 기준이 되는 통화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고로 가장 많이 보유하는 통화💻 가상화폐에서의 기축통화란?가상화폐(암호화폐) 세계에서도 기축통화의 개념이 있어요.블록체인 생태계 안에서 기준이 되는 코인들이 있죠.대표적인 가상화폐 기축통화:비트코인(BTC)디지털 금(Gold)이라고 불림시가총액 1위, 가장 널리 쓰이는 기축 역할이더리움(ETH)스마트 계약의 중심, 다양한 토큰의 기반DeFi, NFT 분야에서 실질적인 기축역할USDT, USDC 같은 스테이블코인미국 달러에 연동된 가상화폐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의 안정성을.. 2025. 4. 5.
해시 🔑 해시(Hash)란?아무 길이의 데이터를 → 일정한 길이의 고유한 코드로 바꾸는 기술이에요.예를 들어:arduino복사편집"Hello" → 해시 함수 → "2cf24dba5fb0a..." "Hello!" → 해시 함수 → "bea8251ff1b2..." 글자 하나만 바뀌어도 완전히 다른 해시가 나와요!대표적인 해시 함수: SHA-256 (비트코인에서 사용)💡 쉽게 말하면?"지문" 같은 거예요!사람마다 지문이 다르듯, 데이터마다 해시값이 다름같은 입력 → 항상 같은 해시해시값만 보면 원래 내용을 알 수는 없어요 (일방향)📦 블록체인에서는 어떻게 쓰일까요?1. 블록 식별각 블록은 자기만의 해시값이 있어요 (블록 ID처럼)2. 무결성 확인블록 내용이 조금이라도 바뀌면 해시도 완전히 달라짐그래서 해시값을.. 2025. 3. 28.